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절대평가의 뜻

등록일 2020-05-15 작성자 현창호 조회수 3604

이번 학기는 모든 과목에 절대평가를 적용하게 되었는데

혹시나 있을 오해를 막고자 절대평가의 의미에 대해 글을 올립니다.

                          "절대평가란?"

간단히 이야기하면 상대평가가 아닌 것이 절대평가입니다.

그러면 ‘상대평가는 뭔가?‘라는 의문이 이어질 것입니다.

상대평가의 의미는 첨부한 파일의 두번째 페이지 ‘별표2‘에 정리되어 있습니다.

상대평가는 별표2에 제시된 비율로 성적을 배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A와 B의 합이 70%를 넘을 수는 없지만 하한선은 없습니다.

즉 A, B가 하나도 없어도 문제 없습니다.

절대평가에서는 별표2의 비율을 지키지 않아도 되지만 A의 비율이 50%를 넘기면 안됩니다. (별표1)

여기에서도 마찬가지로 A, B에 대한 하한선은 없습니다. (0%가 하한선이긴 합니다.)

예를 들어 모든 학생이 매우 잘 했다면 50%는 A+, 나머지 50%는 B+를 줄 수 있습니다. 

이게 가장 좋게 성적을 받는 경우입니다. 

반대로 모든 학생이 형편이 없다면 100% F를 받아도 행정적으로 문제가 없습니다.

                          "나의 성적은?"

이 글을 쓰는 주된 이유는 혹시라도 ‘절대평가니까 무조건 50%는 A를 받겠지‘..라고 오해하는

학생이 있을까 염려되어서 입니다. 성적을 어떻게 주느냐는 강의하시는 선생님의 재량이고

어떤 성적을 받느냐는 여러분의 노력이 결정합니다. 자신이 듣고 있는 강좌에서 1등이라 하더라

시험, 숙제, 출석을 합친 점수가 예컨데 100점 만점에 50점이면 A, B는 커녕 C, D, F를 받을 수도

있다는 것 반드시 명심하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