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교육과를 졸업하면(3): 과학문화 전문가
중등학교 물리교사 자격증을 취득한다는 것은 국내외적으로 학교 과학교육의 전문성을 갖추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중등학교 물리교사 자격증을 갖춘 사람은 초중등학생이나 일반인을 위한 과학교육과 관련된 분야에 진출할 수 있습니다. 대구대학교 물리교육과 졸업생들의 실제 취업 사례를 바탕으로 과학교육 전문 분야 진출을 다음과 같이 나누어 소개합니다.
첫째, 과학관 및 과학교육 전문연구기관 연구원
2019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에는 130여개의 등록된 국공사립 과학관이 있으며, 과학관 협회에 등록되지 않은 과학관 또는 유사 과학관은 이보다 훨씬 많습니다. 과학관은 과학기술 관련 자료를 수집·보존·전시·교육하는 곳으로서, 특히 현대의 과학관에서는 교육 기능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과학관에서는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교육 업무를 담당할 전문가를 요구합니다. 중등학교 과학교사 자격증을 갖춘 사람은 이러한 요건에 잘 부합니다. 실제로 대구대학교 물리교육과 졸업생 중 일부는 과학관에 취직하여 이러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사례] 대구대학교 물리교육과 졸업 및 대구대학교에서 박사학위 취득 직후 한국과학창의재단 위촉연구원을 거쳐 현재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선임급 연구원으로 근무
[사례] 대구대학교 물리교육과 졸업 및 대구대학교에서 박사학위 취득 직후 공공기관 연구소에 계약직 연구원으로 근무하다 현재 국립중앙과학관 연구사로 근무
[사례] 대구대학교 물리교육과 졸업 및 대구대학교에서 석사학위 취득 직후, 구미과학관 연구원으로 근무
[사례] 대구대학교 물리교육과 졸업 및 대구대학교에서 석사 학위 과정 중, 국립청소년우주센터(여성가족부 산하 공공 기관) 연구원으로 근무
둘째, 과학문화 산업체
과학관이 점차 확장됨에 따라 과학관과 관련된 산업체에서 새로운 인력 채용 수요가 생기고 있습니다(예: 과학전시 전문업체 등). 또한 정보통신 및 과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학교 과학교육이 전문화되면서 과학교육 기자재 업체가 전문화되고 있습니다(예: 과학실험장비 전문업체 등). 최근까지도 대구대학교 물리교육과 졸업생 중에는 과학문화 산업체에서 취업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사례] 졸업 후, 임용시험 공부하다가 과학관전시인력양성 과정을 수강하던 중, 강사로 왔던 분의 과학전시전문업체에 지원하여 취업한 졸업생
[사례] 졸업 직전 학기에 서울 소재 컴퓨터기반실험기기 제조업체((주)코리아디지털)에 취직하여 교재개발 및 교육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졸업생
[사례] 대구대학교 물리교육과 졸업 및 대구대학교에서 석사 학위 과정 중, 서울 소재 컴퓨터 활용 실험 장비 업체에 연구원으로 취업하여, MBL 실험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교사연수 업무 수행 중
[사례] 대구대학교 물리교육과 졸업 및 대구대학교에서 석사학위 취득 후 수도권 과학관전시업체에 정규직으로 근무하다가 동아사이언스 경력직으로 채용된 졸업생
[사례] 대구대학교 물리교육과 졸업 및 대구대학교에서 석사학위 취득 후 지역 과학교육 업체(가족회사인 ‘아트힐다락’)에 취직했다가 동아사이언스 경력직에 스카우트, 현재는 국내 최대 방과후 교육 지원업체인 (주)아이스크림미디어에서 교육개발팀장으로 근무 중인 졸업생